2025/06/28 3

재활용센터 직원이 알려주는 폐건전지 분리수거 팁 10가지

폐건전지 분리수거는 기술이다, 현장의 노하우를 알면 더 쉬워진다 가정에서 배출되는 폐건전지를 대부분의 사람들은 ‘수거함에 넣으면 끝’이라고 단순히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재활용센터 현장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의 이야기를 종합해 볼 때 그 이면에는 많은 오해와 잘못된 습관이 숨어 있다고 합니다. 재활용센터는 시민들이 배출한 폐건전지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분류하고, 위험한 폐기물로부터 환경을 보호하는 최전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폐건전지를 제대로 분리하지 않거나, 심지어 일반 쓰레기와 함께 섞어 배출하기도 하면서 폐건전지는 재활용되지 못하고 소각되거나 위험물로 분류되어 따로 처리되어야 하며 게다가 누액이 발생한 건전지는 다른 자원까지 오염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는 것이 현실..

폐건전지와 일반 배터리, 구분하는 기준과 이유

폐건전지를 제대로 이해해야 올바른 분리배출이 가능합니다우리는 하루에도 여러 번 배터리가 들어간 제품을 사용합니다. 리모컨, 무선 마우스, 장난감, 체중계, 시계 등 거의 모든 소형 전자기기가 배터리에 의존하고 있죠.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배터리를 다 사용한 후 어떻게 버려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특히 ‘폐건전지’라는 용어를 막연히 모든 다 쓴 배터리에 적용하다 보니, 실제로는 일반 수거함에 넣으면 안 되는 배터리까지 무분별하게 혼합 배출되고 있는 상황입니다.폐건전지는 분리배출 가능한 재활용 자원이지만, 일부 배터리는 절대 수거함에 넣어서는 안 되는 별도 관리 대상입니다. 대표적으로 리튬이온 배터리, 충전식 배터리, 산업용 전지, 전자담배 배터리 등은 화재 위험이 있어 전용 수거 방식이 필..

폐건전지 속 중금속, 환경에 얼마나 위험할까? 실제 사례로 알아보기

폐건전지는 왜 ‘작은 유해폐기물’로 불리는가?우리 일상에서 건전지는 가장 흔히 접할 수 있는 전원장치입니다. 리모컨, 장난감, 체중계, 무선 마우스 등 가정과 사무실 곳곳에서 사용되며, 작고 가볍다는 이유로 대부분 다 쓴 뒤 별다른 고민 없이 일반 쓰레기통에 버려지는 것이 현실입니다. 하지만 이 작은 건전지 속에는 수은(Hg), 납(Pb), 카드뮴(Cd), 니켈(Ni), 리튬(Li)등의 유해 중금속이 포함돼 있어, 부주의하게 버려질 경우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고, 생태계를 교란하며, 인간의 건강에까지 직접적인 피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에서 한 해 평균 약 2,500톤 이상의 폐건전지가 발생하지만, 이 중 절반도 채 분리배출되지 않고 무단 투기되는 상황이라고 하며 우리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