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2

학교·기관 대상 폐건전지 수거 캠페인 기획 방법

교육·공공기관 중심의 폐건전지 수거 필요성과 정책적 접근 배경우리나라의 중앙행정기관인 환경부는 우리의 실생활에서 빈번하게 발생되는 폐건전지를 대표적인 유해 생활폐기물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수거율을 지속적으로 제고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 가정 이외의 주요 발생처로 분류되는 학교 및 공공기관에서는 폐건전지 수거 체계가 여전히 자율적 참여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실효성 확보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학교와 행정기관, 군부대, 병원, 공공도서관 등은 다수의 리모컨, 무선기기, 휴대 전자기기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폐건전지 배출량 또한 생각보다 상당합니다. 특히 청소년 및 공공기관 종사자는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실천을 선도할 수 있는 집단이므로, 이들을 ..

1년에 배출되는 폐건전지량, 얼마나 될까? 국가 통계 분석으로 본 현실과 과제

우리 일상 속 폐건전지, 보이지 않지만 늘어나고 있다일상생활에서 건전지는 생각보다 자주 사용되고 있습니다. 리모컨, 벽시계, 장난감, 체중계, 무선 마우스, 블루투스 키보드 등 다양한 가전제품 속에 건전지가 들어가고, 그 건전지는 언젠가 수명이 다해 폐건전지가 됩니다.하지만 폐건전지는 사용 후 어디로 가는 걸까요? 사람들이 매일 사용하는 만큼, 버려지는 양도 상당하지만, 정작 얼마나 많은 폐건전지가 배출되고,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고 있는 사람은 드뭅니다. 우리 눈에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더 쉽게 잊혀지는 것이 바로 폐건전지입니다.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이 발표한 공식 자료에 따르면, 국내에서 연간 약 2,500톤에서 3,000톤에 달하는 폐건전지가 수거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 수치는 수거된 양을 기..